오늘은 굿노트 확대창 도구 공부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글을 작성하다보면 손에 힘도 많이 들어가고 피로도가 쌓이게 되는데요. 화면을 좀더 확대해서 입력하면 화면 전체를 보면서 내 글씨를 더 집중해서 적을 수 있어서 그나마 예쁘게 써지고 손의 피로도가 덜합니다. 상단에 도구 상자 좌측 맨끝에 확대창을 누르면, 파란색 테두리박스가 생깁니다. 아래에 입력 창이 크게 나타납니다.
모서리부분을 크고 작게 조절할수도 있으며 손가락으로 박스를 잡고 이동하면 위치도 원하는영역으로 옮길수도 있습니다. 크기조절과 위치이동은 아래 박스창에서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굿노트 확대창 도구 사용법
두손가락으로 오므리고 펼치고 확대, 축소 할 수 있으며 좌우로 움직이면서 위치이동도 가능합니다. 툴바 중간에 회색줄를 누르고 위아래로 드래그하면 창 크기를 크고 작게 크기조절 할 수 있습니다. 아래 양옆에 선 3개부분을 상하 조절하면 파란색 영역부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인체생리학 세포의 구조와 기능 굿노트 요점정리를 활용해봤습니다. 그냥 적을때보다 훨씬 비침현상도 덜하고 깔끔하고 예쁘게 적을 수 있었습니다. 창에 좌측 우측으로 툴바의 옵션들은 어떤 기능들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좌측방향 우측 방향 아이콘을 눌러볼께요. 파란색 점선이 생기면서 계속 누르시면 점점 이동되는것을 볼 수 있어요. 필기할때, 대제목, 중제목, 소제목을 적을때 기준점을 삼아 쓰기 편리하겠죠. 아이콘을 눌러 좌측 우측 이동 하면돼요. a4사이즈 전체 정렬이 일정하게 되서 보기좋게 정리할수 있어요. 우측 아이콘을 살펴볼께요. 좌측을 화살표를 누르면 화대창이 좌측으로 움직이는것을 볼수가 있구요. 오른쪽화살표를 누르면 우측으로 움직이죠. 엔터키 모양아이콘을 누르면 다음줄로 이동이 돼요. 엔터키를 누르시면, 파란색 영역상자가 줄을 건너뛰는것을 볼수있습니다.
이어쓰기 도우미
다음에 소개해드릴 기능은 이어쓰기 도우미라는 기능인데요. 이 도구를 활용하지않고 그냥 화면을 확대해 적다보면 단점이 있는데요. 노트의 맨끝까지 글을 적고 다음 줄로 넘어갈때 손가락으로 드래그를 계속 반복하며 화면위치를 이동해줘야하는게 넘 번거로워요. 이러한 불필요한 과정을 줄여줄수있는 기능입니다. 글을 적다보면, 중간 지점쯤에서 파란색 박스가 생성이 되는데요. 굿노트 확대창 왼쪽에 파란색 박스가 생기면서 그전 글들이 이어져서 보여지게되요. 글을 적을때마다 화면에 파란색 부분이 이동되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 오른쪽 끝까지 다적으면 화면을 따로 이동시킬필요가 없이 좌측 이어쓰기 도우미 창에 첫칸에서부터 다시 쓰기시작하면 자동으로 창이 이동이 되면서 이어서 써집니다.
계속 이어쓸 수 있게 도와주는 친절한 기능입니다. 필기할때 굿노트 꿀팁! 굿노트 확대창 도구 이어쓰기 도우미 활용법은 실제로 필기를 할때 단을 나눠 많이 쓰잖아요. 좌측과 우측 기준점을 만들어두고 글을 적기가 편리합니다. 박스 상자를 시작부분을 좌측을 맞추고 글이 끝나는 부분을 우측에 맞추고 글을 작성하면, 바로 이어쓰기 도우미창이 생겨서 쭉 작성하다가 단의 맨끝지점에 다다를때 우측상단에 엔터키를 눌러줍니다. 그럼 자동으로 다음줄로 넘어서 이어쓸수가 있어 필기할때 편리하겠죠. 번거롭게 손으로 위치 이동하지않아도 아래로 쭉 이어서 적을 수 있습니다.
우측 상단에 더보기 아이콘을 누른다음 문서편집을 누르면 다양한 기능이 있는데요. 이어쓰기 도우미에 박스 표시된 부분을 눌러 비활성화(off)해주시면 됩니다. 우측 끝쪽에 글을 적어도 좌측에 파란색 창이 뜨지않네요. 지금까지 굿노트 확대창 도구 공부 필기할때 활용법 알아보았습니다. 오늘 포스팅이 도움되셨길 바라며, 더 유용한 굿노트 사용법으로 돌아오겠습니다. 소중한 공감과 댓글 감사드립니다:)
'아이패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굿노트 플래시카드 만들기 영어단어 쉽게 외우는 방법 (0) | 2022.10.19 |
---|---|
굿노트 PDF 내보내기 저장 공동작업 하는 법 (1) | 2022.10.18 |
굿노트 텍스트 도구 입력 줄간격 붙여넣기 폰트 사용방법 (0) | 2022.10.17 |
goodnotes 페이지 삭제 복사 추가 방법 (0) | 2022.10.13 |
아이패드 굿노트 스티커 사용법 등록 자르기 방법 (0) | 2022.10.12 |
댓글